미국은 중국과의 무역협상을 발표함. 런던에서 협상을 시작한지 약 한 달만의 발표임. 그만큼 협상이 쉽지 않았던 듯 보임. 여기서 미국의 노림수는 뭘까?
- 일단 시간을 벌은 이후 대처한다.
- 진짜 중국과 협상했다.
누가 봐도 1번에 가까울 것임. 미국이 협상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이고 이후 대비할 건 무엇일까? 여기서 투자 기회를 찾아볼 수 있음.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에서 미국이 굴복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희토류임. 희토류가 무엇인가? 희토(稀土)류 말 그대로 희귀한 흙이라는 뜻임.
🔍희토류는 경희토류와 중희토류가 있는데 이들의 종류와 사용처는 아래 글을 참고.
여기서 가장 중요한 건 아래 표임. 미국이 중국에게 가장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미국 핵심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희토류임
분야 | 핵심 희토류 | 설명 | 중국 수입률 (미국 기준) |
---|---|---|---|
무기 | 네오디뮴(Nd), 디스프로슘(Dy), 가돌리늄(Gd) | 고출력 자석, 레이더, 유도미사일, 전투기 부품에 필수 | Nd: 78%Dy: 98%Gd: 74% |
반도체 | 터븀(Tb), 이트륨(Y), 가돌리늄(Gd) | 초정밀 기기, 냉각 시스템, 포토마스크, LED, 레이저 등에 사용 | Tb: 95%Y: 92%Gd: 74% |
2차전지 | 프라세오디뮴(Pr), 란타넘(La), 네오디뮴(Nd) | 배터리 음극재, 전기차 자석 모터,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 Pr: 85%La: 90%Nd: 78% |
특히 희토류 중 네오디뮴이 가장 중요한 희토류임. 네오디뮴은 대부분의 무기 생산에 들어가는 재료이고 2차전지에도 들어가기 때문에 없으면 미국의 방위, 배터리 산업에 큰 타격을 입음.
미국 내에서 공급이 안 되고 있으며 거의 대부분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이 희토류 공급 안 해준다고 하면 미국은 깨갱 하는 수밖에 없음.
과거 일본과 중국의 무역전쟁 때도 일본이 항복한 이유가 바로 희토류였음. 역사는 반복되는데 반복되는 역사에서 미국은 여전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음. 이번에는 대처할 수 있을까?
미국의 희토류 공급망
✅ 미국의 희토류 공급망을 보면 대처하지 못하는 이유가 나옴.
나라 | 미국 수입 비중 |
---|---|
🇨🇳 중국 | 70% |
🇲🇾 말레이시아 | 13% |
🇯🇵 일본 | 6% |
🇪🇪 에스토니아 | 5% |
🌐 기타 | 6% |
미국 내에서는 희토류 생산이 거의 없고 중국 수입 비중이 70%에 육박함. 이 70%에 육박하는 수입 물량을 어디서 대체할 수 있을까?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운데 이 불가능에 가까운 걸 해내려고 하니 잘 안 되는 것.

미국의 유일한 희토류 광산은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마운틴 패스 광산임. 생산 원소는 주로 경희토류이며 네오디뮴과 프라세오디뮴인데 문제가 있음.
캘리포니아는 미국 내에서도 굉장히 진보적인 주임. 환경 문제에 민감함. 희토류의 정제는 상당한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캘리포니아 주는 이걸 눈 감아줄 생각이 없으니, 채굴은 하더라도 정제는 중국에서 하는 상황임.
그래도 미국 내에서 정제를 해보자! 라고 해서 텍사스주에 정제공장을 건설중인데 여기도 GM과 제휴한 전기차용 네오디뮴 자석의 정제 공장이라 생산이 제한적임.
즉, 아직까지 별 다른 대책이 없다고 보는 게 맞음. 트럼프라고 별 답이 있을까? 다만 노력은 하고 있음.
- 국방수권법을 통해 희토류 확보 전략 추진
- 미국 국방부가 희토류 생산 기업에 직접 보조금 지급
- 호주, 캐나다, EU와 희토류 공급망 동맹 구축
‘노력은 한다’ 라는 점이 포인트임. 불가능에 가까운 일을 노력을 통해 이루려면 돈이 많이 필요함. 이 돈이 어디로 흘러가고 누가 먹게 될 것이며 최종 수혜는 누가 볼까? 이걸 알아낸다면 투자에 유용히 써먹을 수 있음.
미국 내 희토류 정제 기업
항목 | MP Materials (MP) | USA Rare Earth (USAR) |
---|---|---|
상장시장/티커 | NYSE: MP | NASDAQ: USAR |
주요 역량 | 마운틴 패스 채굴·정제·NdPr 생산 | Round Top 채굴 + Stillwater 자석 생산 |
정책 수혜 | 보조금, DPA·IRA 등 직접 지원 | 공급망 정책 수혜, 협력계약 기대 |
현재 상황 | 사업 진행 중(정제→자석까지) | 아직 생산 전 단계 (pre-production) |
리스크 요인 | 중국 정제 의존 잔존 + 정책 변동성 | 생산 시작 지연, 자본 부족 가능성 |
현재 미국 내 희토류 정제 기업은 2곳임. MP와 USAR임. MP는 미국 기업이고 USAR은 호주 기업이라는 차이점이 있음. 국적이 차이가 하나의 리스크로 다가옴.
- 트럼프는 막강한 자국우선주의를 내세움. 동맹국이고 나발이고 절대 자국의 이익을 나누지 않음.
- 호주의 USAR은 중국에서 희토류를 수입하기도 함. USAR이 성장하면 중국도 수혜를 보는 구조라는 것.
위 2가지 리스크 때문에 투자를 한다면 MP에 하는 게 훨씬 적합하다고 생각함. 주가 상승 방향은 MP와 USAR이 함께 가고 있지만 보조금 수령이나 정책 수혜를 생각하면 MP가 맞을 듯.
MP에게 기대되는 것
아직까지 MP머티리얼즈의 실적이나 성과가 크게 드러나고 있진 않지만 트럼프는 중국과 싸울 때마다 희토류에 발목을 잡히게 될 것이며 이를 극복하려고 부단히 노력할 것임.
이 때마다 MP는 막대한 지원과 보조금을 바탕으로 희토류 정제를 늘려나갈 것으로 예상됨. 미국이 중국발 희토류에서 독립할 수 있느냐 없느냐와 무관하게 MP는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으면서 크게 성장할 수 있다는 뜻임.
✅포인트는 중국과의 무역전쟁임.
지금은 잠시 협상을 마무리했지만, 중국과의 무역 마찰은 지속적으로 일어날 것. 이스라엘 이란 전쟁에서도 중국은 이란을 놓을 수 없으니 미국과 마찰을 빚을 것이고, 대만 문제에서도 마찰을 밎을 것임.
이 때마다 중국은 희토류를 무기로 쓸 수밖에 없고 희토류는 지속적인 이슈가 될 것. 희토류가 이슈 될 때마다 MP의 주가는 오를 가능성이 높음.
✅ 저렴할 때 사고, 이슈에 팔면 꽤 좋은 용돈벌이가 될 가능성이 높음.
장기투자도 가능함. 실제로 미국은 긴 시간에 걸쳐 희토류에 투자할테고 미국 기업 중 실체가 있는 희토류 관련 기업은 MP가 유일하니 꾸준히 투자하는 것도 추천함.
🔍여기 를 누르면 MP머티리얼즈의 25년 1분기 분기보고서가 나오는데, 보고서에는 이렇게 적혀 있음
MP머티리얼즈 분기보고서에 정부와의 협력을 공개적으로 명시한다는 건 그 중요도가 커졌다는 것. 최근 중국과의 무역협상으로 주가가 꽤 빠지고 있는데, 좋은 위치에서 잡는다면 길게 가져갈 수 있는 종목이라고 생각함.
급변하는 세계 정세 속에서 중국은 언제나 희토류를 무기로 삼았으니 희토류 관련주 하나쯤은 꾸준히 투자해두는 것도 좋을 듯. 이상으로 글 마침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