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내용은 “한국형 양적완화(QE)”를 가정했을 때 원화 가치, 거시경제, 국제 관계, 환율·무역, 사회적 파장을 360도에서 살펴본 시나리오형 분석입니다.
해당 글은 객관적 자료에 입각하여 작성되었으며 AI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AI의 도움을 받았으나 제가 모두 검토하고 수정한 글이니 안심하고 보셔도 됩니다.
(수치는 현재 공개자료와 과거 사례를 토대로 추정했으며, 실제 정책 설계·규모·타이밍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정책 내용은 아래 포스팅 참고해주세요.
한국식 QE가 가능해지는 구조
요소 | 현재 여건 | QE 실시 시 달라지는 점 |
---|---|---|
정책 금리 | 5월 29일 2.50%까지 4차례 인하 | 국채 매입으로 장단기 금리 추가 하락(10y KTB -40~60bp 예상) |
BOK 대차대조표 | 592.5조 원(’25.3월) | 2년간 200조 원 매입 시 30% 확대 |
국내 성장률 | ’25년 전망 0.8%로 하향 | 완화 효과로 +0.3~0.5%p 상향 여지 |
시나리오 가정
- 2025 하반기부터 2년간 국채·정책금융채 200조 원 순매입
- 금리 인하 여력이 한계에 달했다는 시장 인식 선행
양적완화를 통해 국내 성장률을 높일 수 있지만, 엄청난 유동성이 풀리면서 부동산 가격 폭등, 인플레이션 우려가 올 수 있음. 한국식 QE가 가능해지는 구조는 맞겠으나 무엇을 버리고 얻을지를 결정해야 함.

원화 가치·환율 지형 변화
- 금리 차 확대로 단기 약세 압력
- Fed 기준금리 4.25~4.5% 유지, 연내 추가 인하는 “옵션” 단계 (
- 한국 10년물 금리 3% → 2.4%대까지 하락 시, 미국채 대비 스프레드 –150bp 내외로 확대.
- USD/KRW 1,370원→1,450원 근접할 가능성(−5%~−6% 가치).
- 무역·외환수급 상쇄 요인
- 수출 부진(5월 –2.7% YoY)에서는 약세가 방어막이지만, 美 관세·환율조작국 리스크 고조
- 상시 통화스와프(600억 달러) 활용 시 급변동 완충 여지.
- 중·장기 재평가 경로
- QE 종료가 명확히 커뮤니케이션되고, Fed·ECB가 2026년부터 동반 완화로 돌아서면 KRW 반등 전망.
국내 거시경제 파급
채권 매입을 통한 경기 부양이든, 세금 지출 확대를 통한 경기 부양이든 현 시점에서 부작용이 심각할 것으로 예상됨.
채널 | 예상 효과(1~3년) | 리스크·부작용 |
---|---|---|
(1) 국채·회사채 금리 | 10y 국채 –40 | 채권 수급 왜곡, 만기 구조 왜곡 |
(2) 은행·신용 | 예대마진 축소→은행 이익 –5~7%p, 가계·소상공인 대환 프로그램 효과↑ | 부동산·주식 레버리지 확대, 금융안정 스트레스 |
(3) 자산 가격 | 코스피 PER 리레이팅 +1.0 | 자산 격차·세대 간 불평등 확대 |
(4) 인플레이션 | 수입물가 경유 0.5~1.0%p 상승, headline 3% 중후반 가능 | 실질 임금 저하·장바구니 물가 압박 |
사회가 어느 선까지 타협할 수 있는지, 부작용을 어떻게 최소화 할 지 등이 관건일 듯 하나 아직까지 해결책은 보이지 않음. 누구에게나 좋은 양적완화책은 없는 만큼 이 해결책을 얼마나 빨리 마련하냐에 따라 이재명 대통령의 정책 실현 속도가 결정될 듯.
국제 정세·중앙은행 간 상호작용
- 스탠스 차별화
- Fed: 보유 자산 축소 지속(QT) → 韓과 반대 방향
- ECB: 추가 소폭 인하 후 “pause” 논의
- BOJ: 저금리·점진적 채권 매입축소 병행
⇒ 한국 QE는 日과 일부 공조, 美·EU와 역진되는 구조. 자본 흐름 변동성 ↑.
- 외교·통상 파장
- 미국·EU가 “경쟁적 통화가치 절하” 문제 삼을 소지. 환율 감시·수입규제 결합 카드 가능.
- swap network 상시화, IMF SDR 점유율 상향 등 다자 협력 필요.
✅ 한국은 기축통화국이 아니기 때문에 양적완화시 글로벌 중앙은행간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임.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만 인하를 하거나 양적완화를 하는 건 상당한 부담으로 다가옴.
환율·무역 연계 전망
지표 | QE 전 | QE 후 (1년) | 함의 |
---|---|---|---|
USD/KRW | 1,370원 | 1,420~1,450원 | 수출가격 경쟁력 +3~5%p |
교역조건 | 1.02 | 0.98 | 수입물가 ↑, 무역조건 악화 |
경상수지 | GDP 대비 2.5% | 3.0% (수출→↑, 수입 가격효과↓) | 대미 흑자 확대, 통상압력 ↑ |
✅ 양적완화는 원화가치를 낮춤으로써 수출기업에게 도움이 될 수 있겠으나 인플레이션을 높이면서 서민의 생활이 약화될 수 있음.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기반은 주로 서민층이기 때문에 부담으로 다가올 듯.

사회·정치적 영향
1 분배·불평등
- 자산가격 상승 → 주거·교육비 부담 심화, 2030세대 체감 격차 확대.
- 가계부채(105%/GDP)가 완화→레버리지 재확대로 U자형 궤적.
2 고용·노동시장
- 금리 부담↓로 중소기업 투자·고용 +0.2%p 기대.
- 반면 물가상승이 실질임금 잠식, 주 4.5일제 추진 동력 약화 가능.
3 정치 커뮤니케이션
- “성장과 복지를 동시에”라는 정부 메시지를 강화하지만,
- 물가·집값 민심이 흔들릴 경우 QE 중단·테이퍼링 압박이 앞당겨질 수 있음.
정리하며
현 시점에서 한국의 양적완화는 득보다 실이 많은 방향이 될 수 있는데 사실 선거 전부터 한국은행은 금리 인하를 통해 양적완화를 진행해오고 있었으니 이재명 대통령에게도 변명의 여지는 있음.
다만, 과거 민주당이 정권을 잡으면 집값이 오르고 물가가 오르고 살기가 어려워졌다는 풍문과 함께 실제로 집값이 오르고 인플레이션이 또 찾아온다면 그 역풍을 감당하기 힘들 것으로 보임. 지금도 인플레이션 때문에 서민들의 삶이 팍팍해지고 있음.
여기까지 글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