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이재명 정부 기간 동안 일어날 “정책 → 대표 수혜 업종·기업 → 영업이익 확대 경로”를 순서대로 보여드립니다. 실제 숫자는 2025년 1 ~ 5월에 공시·보도된 내용과 공약의 투자 규모(예: AI 100 조, 에너지고속도로 HVDC 20 GW 등)를 교차해 작성했습니다.
✅ 본 글은 투자 권유 글이 아닙니다. 글의 작성일인 25년 6월 4일 이후 정부의 정책이 변할 수 있으니 참고로만 이용해주세요.
- 해당 글의 내용이 길고 많습니다. 작은 화면 보다는 테블릿 or PC로 보시면 편리합니다.
- 또한 종목이나 설명의 하이퍼링크를 클릭하시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공약 사항은 아래 글에 정리해놨습니다.
AI · 반도체 100 조 투자
경로 | 주요 상장사 | 수혜 포인트 |
---|---|---|
GPU·ASIC 설계·제조 | 삼성전자, 오픈엣지테크놀로지, 가온칩스 | 정부·Naver Cloud 등이 주문할 ‘국산 AI 서버용 SoC’ 파운드리 물량 증대 → 시스템LSI·파운드리 부문 가동률↑, AI 메모리 번들 판매 확대 |
HBM·첨단 D램 | SK hynix | HBM3E 매출이 2Q부터 전체 HBM의 50% 돌파 전망, AI 클러스터 수요 직격 수혜 |
클라우드 플랫폼 | 네이버 | NVIDIA와 ‘주권형 AI 클라우드’ 구축 계약, GPU·R&D 인센티브 지원 → Q1 영업이익 15% ↑ |
IT 서비스·AI 엔터프라이즈 | 카카오, 더존비즈온 | 정부·지방 AI센터 SI 사업 수주 가능성; 구독형 AI SaaS 매출 성장 |
실적 연결 고리:
인센티브·데이터센터 전력 요금 지원 → ‘AI GPU 구매 보조금 + 전력 비용 절감’이 곧바로 IT CAPEX → 반도체 출하량 → 플랫폼 매출 순으로 연결.
✅ 소프트웨어 개발쪽은 결국 한국 내수용에 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하드웨어 중심으로 투자가 이루어질 듯 보임. 하드웨어 중에서도 설계단에 위치한 기업들에 주목하면 좋겠음. 가온칩스나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등

재생에너지 · 그린뉴딜
경로 | 주요 상장사 | 수혜 포인트 |
---|---|---|
태양광 모듈 | 한화솔루션(Q cells) | 국내·미국 雙투자 확대, 美 25 MW 프로젝트 공급계약 US$49.5 M 체결 → 모듈 판매량 + 수율 개선 |
풍력 (타워·터빈) | CS Wind, 두산에너빌리티 | ① CS Wind : Q1 흑자전환, 2 조원급 백로그 유지 ② 두산 : 지멘스가메사 14 MW 터빈 생산 공장 건설 파트너 → 기자재·O&M 매출 확장 |
HVDC 변환·계통 | LS Electric, LS Cable & System | 5,000억 원 HVDC 컨버터 계약 + 해저 HVDC 케이블 국내·해외 공장 증설 → 전력망 투자의 직접 수혜 |
✅최근 한화솔루션이 페로브스카이트전지 개발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있음. 만약 상용화까지 성공한다면 이재명 정부의 재생에너지 투자와 더불어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관련 기업 중 두산에너빌리티는 풍력, 수소, SMR 전반에 걸쳐있으니 앞으로 기업 가치가 더욱 오를 것으로 예상됨.
에너지고속도로·ESS 대중화
경로 | 주요 상장사 | 수혜 포인트 |
---|---|---|
ESS 셀·시스템 | 삼성 SDI, LG Energy Solution | ① NextEra 멀티프로젝트 ESS 공급 계약 → 북미향 매출 가시화 ② 2025 하반기 美 LFP ESS 라인 가동 → IRA 보조금 수령, 국내 HVDC·데이터센터용 UPS 수주 |
전력기기·EMS | LS Electric, 현대일렉트릭 | HVDC 변환소·배전용 ESS PCS(전력변환장치) 시장 지배력 강화 → 턴키 공급마진 확대 |
실적 연결 고리:
HVDC → 대용량 ESS → 데이터센터 전력백업까지 같은 밸류체인에 속해 있어, 수주가 동시다발적으로 증가하는 ‘레버리지 효과’가 큼.
위 주요 상장사에는 적지 않았지만 건설업에도 훈풍이 불 것으로 보임. ESS설치, 에너지고속도로, 데이터센터 모두 ‘건설’을 필요로 하는 사업이기 때문임.

수소 · 탄소중립
경로 | 주요 상장사 | 수혜 포인트 |
---|---|---|
연료전지 발전·스택 | 두산퓨얼셀 | 지자체 MW급 수소발전 실증 확대, 고체산화물형(SOFC) 국산화 → 서비스 매출·AS 수익 지속 (단, 4월 대형 계약 해지 건은 리스크) |
수소충전·액화 | 효성중공업 | 1 MW 수소엔진 1,400 시간 연속가동 성공·서울시와 액화수소 충전소 확대 MOU |
저장 탱크 | 일진하이솔루스 | 현대차 넥쏘·수소버스 독점 탱크 공급, 정부 FCEV 보조금 확대 |
수소환원제철 | POSCO 홀딩스 | HyREX 파일럿→2025 착공, 2027 완공 예정 → 장기계약 기반 ‘그린프리미엄 강재’ ASP 상승 |
💸 수소 기업들 중에는 주가가 크게 하락한 기업들이 많음. 특히 두산퓨얼셀은 수소연료전지 대장주인데 고점 대비 1/3이 된 상태임. 공약에 직접적으로 나온 히트펌프를 생산하는 기업인 한온시스템의 주가도 엄청나게 하락한 상황임.
문재인 정부 때 실패한 수소 투자에 이재명 정부는 얼마나 투자할 지 모르겠으나 기회를 보면 좋을 듯 함.
양적완화(QE)·주가지수 5000 프로젝트
경로 | 주요 상장사 | 수혜 포인트 |
---|---|---|
증권·자산관리 | 미래에셋증권, NH 투자증권 | 금리↓·유동성↑·외국인 자금 유입으로 리테일 브로커리지·IB 수수료 급증, Q1 실적 예상을 상회 |
상장지수펀드(ETF) | KODEX(삼성자산운용), TIGER(미래에셋) | 주가지수 5000 달성 로드맵 → ETF 자금 22 조+ 유입 시뮬레이션, 운용보수·운용자산(AUM) 증가 |
대형은행·카드 | KB·신한 금융지주 | 대환·채무조정으로 대손비용 완화 + 주가발행·자본시장 거래 확대 |
실적 연결 고리:
채권 → 주식·대체투자 재편이 빨라지면, 증권·운용·대형은행 IB 부문에서 이익률이 가장 먼저 개선.
💸이미 6월 4일 개장부터 주요 금융주들의 주가가 급등하는 중. 이 상승세가 이어질지 아닐지는 모르겠으나 공약 전반을 보면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 특히 배당확대가 예상되니 일반인들도 투자하기 좋을 것.
투자 인사이트 요약
⌜한눈에 보기⌟ 정책·기업 매트릭스
정책 영역 | 반도체·AI | 재생에너지 | HVDC·ESS | 수소경제 | 금융 · QE |
---|---|---|---|---|---|
핵심 상장사 | 삼성전자, SK hynix, 네이버 | 한화솔루션, CS Wind, 두산에너빌리티 | LS Electric, LS Cable, 삼성 SDI, LG ES | 두산퓨얼셀, 효성중공업, 일진하이솔루스, POSCO 홀딩스 | 미래에셋증권, NH 투자증권, KB·신한 지주 |
실적 트리거 | GPU·HBM 매출·클라우드 CAPEX | 모듈·타워·터빈 수주 + RPS 확대 | 변환소·케이블·배터리 출하 | 발전·충전·저장 장치 발주 + 그린프리미엄 | 거래대금·AUM·IB 수수료 |
리스크 | 美 수출규제, 전력요금 | 단가 하락, 프로젝트 지연 | ESS 안전규제, 중국 LFP 가격 | 수소가격, CAPEX 부담 | 금리·증세 논란 |
- 정책 타임라인이 곧 기업 매출 예약: 공약 발표 → 예타·RFP → 2026~27년 본격 매출 반영 순서.
- 밸류체인 안에서 교집합이 큰 기업(예: LS Electric, 효성중공업)은 중복 수혜 가능성이 크다.
- 각 섹터별 글로벌 가격·규제 변수가 있으므로, 백로그·수주잔고가 확인된 종목 위주로 접근하면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
✅ 위 리스트와 근거가 투자에 도움 되길 바랍니다^^ 눈에 딱 보이게 정리한 글이 없어서 따로 글 작성합니다. 오늘도 주가가 많이 오르네요. 코스피 5000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