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정권 교체 시나리오, 한국에게 큰 이득이 될 것.

0
(0)

이스라엘 vs 이란 전쟁이 끝을 향해 가고 있음. 미국과 이스라엘은 강력한 힘의 격차를 보여주며 전쟁을 단기간에 끝내는 데 성공했고, 이란은 표면적으로는 협상이라지만 결국 항복하는 꼴을 보여줌.

어떤 뉴스에서는 이란이 계속 싸울 것이라고 하는데, 결국 항복 수순에서 정권 교체 쪽으로 기우는 듯 함. 이란이 정권교체를 해야 하는 이유는 아주 많음.

이란 국민이 정권 교체를 바라는 이유

이란 국민 입장에서 이번 전쟁은 그리 나쁜 전쟁이 아님(희생자에게는 죄송스럽지만). 다른 관점에서 보면 이란 정권이 바뀌고 국가가 훨씬 더 잘 살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전쟁임. 왜 그럴까?

  1. 원래 이란은 못 살던 국가가 아니었음.
  2. 1977년 팔라비왕조 시절 이란의 GDP연평균 성장률은 10%에 달했으며 1인당 GDP는 2,060달러, 세계 18위 규모의 꽤 잘 사는 나라였음.
  3. 고속 성장을 하던 중 1979년 이란 이슬람 혁명으로 상황이 급변함. 팔레비 왕조가 붕괴되고 호메이니가 이끄는 시아파 이슬람 신정 체제로 전환됨.
  4. 이 때부터 서방과 갈등을 빚으며 경제 성장률 추락, 지금의 이란이 된 것.
  5. 경제만 나락으로 간 것이 아니라 종교와 정치가 일원화되며 문화, 생활 수준 전반이 추락함.

🚨이슬람 혁명 이후부터 이스라엘과의 관계도 나빠지기 시작했는데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어쨌든, 멍청한 호메이니 독재 정권의 기조가 현재까지 이어지며 이란의 2025년 1인당 명목GDP는 약 3,900 달러로 추정됨. 이는 베트남보다 못 사는 수준이고, 나라가 파탄 났다는 베네수엘라보다도 낮은 것.

순위국가미국 달러($)인구(만 명)
117요르단4,9031,155
118베트남4,80610,160
119나미비아4,661303
120에스와티니4,613124
121튀니지4,5281,278
122볼리비아4,5251,241
123모로코4,3973,808
124필리핀4,35011,584
125지부티4,343117
126부탄4,30279
127베네수엘라4,0682,840
128이란3,8979,242

이란 국민 입장에서 얼마나 기가 찰 노릇이겠음? 당연히 이란 국민 입장에서 ‘은근히’ 정권교체를 바라는 것.

은근히 바랄 수밖에 없는 이유는 ‘혁명수비대’ 때문이었음. 이란의 혁명수비대는 실질적으로 이란의 정규균을 지배하고, 혁명수비대 출신 인원들은 이란의 정치, 행정의 요직에 있음. 이란을 지배하는 실질 세력으로 보면 됨.

신정정치체계가 유지되면서 이란의 법 체계는 사실상 유명무실해졌고 종교적으로 사람을 처벌할 수 있게 되었는데, 혁명수비군은 무력으로 여성과 소수 민족을 차별하고 처벌하고 인권침해를 하면서 나라를 탄압함.

🚨경향신문에 나온 이란 인플루언서의 실태를 보면 지금 정권의 모습이 어떤지 잘 볼 수 있음. 아래 버튼 누르면 뉴스로 이동.

이란 커플 영상 하나 올렸다고 징역 10년 🔍

상식적으로 이런 나라가 잘 돌아갈 수 있을까? 당연히 아님. 이란 국민이 이번 전쟁을 통해 혁명수비대의 권력체계가 무너지고, 정권교체를 바라는 건 극히 당연한 일임.

이란의 지정학적 위치

문제는 이란의 땅 크기임. 이란은 이라크, 튀르키예(터키),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와 국경을 공유할 정도로 중동에서 매우 큰 나라임.

🚨 만약 이란이 친서방으로 돌아간다면 중국과 러시아는 어떻게 될까?

  1. 중국은 이란에게 어마무시한 석유를 수입하고 있고 러시아는 많은 무기를 팔아넘기는 관계임.
  2. 이번 전쟁에서도 중국과 러시아가 이란 편에 서니마니 하면서 논란이 되었었음.
  3. 만약 이란이 친서방으로 넘어간다면 빨간색 선 안의 국가들이 모두 친서방 국가가 됨.
  4. 러시아나 이란 입장에서는 거대한 중동벨트에서 영향력이 줄어드는 것.

반대로 서방은 그만큼 이득을 보는 위치임.

즉, 전쟁이 끝나가는 지금은 물 밑에서 중국+러시아 vs 서방의 힘겨루기가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이라는 것. 다만, 중국은 미국과의 관세전쟁 및 내부 정치 상황으로 이란에 신경 쓸 상황이 아니고 러시아도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으로 국력이 꽤 소진된 상황.

만약 이란이 정권교체를 원한다면 지금처럼 더 좋은 기회는 없을 것.

정권 교체가 이루어진다면?

🚨 만약 이란에서 정권교체가 이루어진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국민들이 원하는 대로 이란의 성장을 위한 정권교체가 일어난다면 이란은 제2의 부흥기를 맞을 수 있음.

  1. 핵 포기 이후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통해 글로벌 무역 체계로 진입
  2. 석유 수출로 경제력 증대
  3. 이스라엘, 서방과의 관계 개선 및 경제 지원 가능
  4. 문화, 정치, 행정의 현대화

등등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 이란이 발전하면 피를 보는 국가는 단 하나. 사우디아라비아임. 유가 하락으로 인해 큰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 됨. 사우디아라비아 및 아랍에미리트는 내심 이란 정권 교체는 일어나지 않길 바랄 수도 있음. 이란은 지금처럼 못사는 나라, 멍청한 나라로 남길 바랄 뿐.

이러쿵저러쿵해도 정권교체가 일어난다면 유가 하락이 가장 큰 글로벌 충격으로 다가올 것임. 한국은 이로 인해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음. 우린 한국인이니 한국에게 이득 되는 게 뭔지 따지는 것이 중요.

한국에게 득이 되는 이란 정권교체

이란의 정권교체는 한국에게 큰 득이 될 수 있음. 현 이란 정권은 북한과 아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음. 북한에 대한 정보가 아주 많다는 것. 만약 이란 정권이 교체되어 친서방 정권이 수립된다면 한국도 득 볼 게 많음.

  1. 이란에게 경제 협력+원조를 통해 북한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음
  2. 이란의 경제 재건에 힘쓰면서 한국 기업 진출을 자연스레 노릴 수 있음
  3. 이란 피해 복구에 한국 건설사 투입 가능
  4. 안정적인 석유 수입 루트를 하나 더 확보할 수 있음

한국은 이란의 경제발전 속에서 많은 이득을 볼 수 있는 국가임. 이란 입장에서 아무에게나 손을 내밀 순 없음. 아무래도 기존 강자였던 중,러의 눈치를 봐야 하기 때문임.

한국은 중국, 러시아와 비교적 건전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라 이란 입장에서 눈치 보지 않고 경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국가이며 실제로 실력도 있는 국가임.

따라서 종전 이후 이란 재건, 경제 협력에 한국이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아주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을 듯 함. 관련주로는 한국 건설주를 보면 어떨까?(원자력 시설 재건도..?)

현대건설 실시간주가

마무리하며

중동에 평화가 찾아오는 날이 있을 지 모르겠으나 정말 평화가 찾아온다면 한국 입장에서 굉장히 큰 기회가 오는 것. 이 기회를 잘 잡을 수 있을지 없을지는 가봐야 알겠지만 잘 잡을 수 있을거라고 생각함.

이란에 친서방 정권이 들어선다면 중,러,북과의 관계는 점차 정리될 것이고 반대로 미, 이스라엘, 한국과의 관계가 점점 좋아질 것이기 때문임. 이래저래 한국이 득을 많이 보게 생김.

이건 먼 미래의 카더라인데, 이란이 경제발전을 하면 할수록 석유 수출로는 경제 성장을 받치기에 부족한 시점이 반드시 다가옴. 여기에 한국의 기술과 산업인력이 들어간다면..?

이 게시물이 도움 되었나요?

별점을 체크해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 수 0

아직 투표가 없어요

Toad

Economic content creator from 2020 It provides insights by reinterpreting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money'. This article was written by a person himself I got help from AI, but I reviewed and corrected it. Prohibits unauthorized copying, processing, and commercial use.

댓글 남기기